월렌트

장기렌터카 인수 안내

테슬라 모델Y

테슬라 모델3

BYD 씰

BYD 아토3

현대 아이오닉6

현대 아이오닉5

기아 EV6

스마트 EV Z

제네시스 GV60

제네시스 G80 EV

폴스타2

폭스바겐 ID.4

벤츠 EQA

BMW i4

타고(tago.kr)가 BYD 씰 전기차에 대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렌터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25년 BYD 씰 (BYD SEAL) 모델입니다. BYD는 전 세계적으로 400만대 이상의 자동차를 판매한 중국 1위의 자동차 회사일 뿐 아니라, 2024년에는 미국 테슬라를 누르고 세계 1위의 전기차 판매 회사로 성장했습니다. 씰(seal)은 '물개'라는 뜻으로서, BYD를 대표하는 중형 세단 모델입니다.

BYD 씰

BYD 씰 전면
BYD 씰 후면
BYD 씰 좌측면
BYD 씰 우측면
BYD 씰 트렁크
BYD 씰 보닛
BYD 씰 앞바퀴
BYD 씰 뒷바퀴
BYD 씰 충전구
BYD 씰 프렁크
BYD 씰 도어핸들
BYD 씰 썬루프

BYD 씰 실내

BYD 씰 운전대
BYD 씰 운전석
BYD 씰 앞좌석
BYD 씰 뒷좌석
BYD 씰 콘솔박스
BYD 씰 콘솔박스
BYD 씰 모니터 가로 방향
BYD 씰 모니터 세로 방향
BYD 씰 모니터
BYD 씰 모니터
BYD 씰 도어트림
BYD 씰 도어트림
BYD 씰 스피커
BYD 씰 스피커
BYD 씰 사이드미러
BYD 씰 사이드미러

바다의 부드러움에 EV의 스포티함을 담다

바다를 담은 디자인

  • BYD 씰은 바다를 닮은 유려한 디자인과 스포티한 주행 능력을 더한 전기 중형세단입니다. 바다의 수평선, 일렁이는 파도의 움직임 등이 연상되는 요소들이 차체 곳곳에 새겨져 있습니다. 또한 날렵한 헤드램프나 지붕에서 트렁크 끝단까지 떨어지는 패스트백 디자인으로 고성능 스포츠카의 느낌을 더했습니다.

1회 충전으로 407km

  • BYD 씰은 82.56kWh의 BYD LFP 블레이드 배터리가 적용됐으며, 1회 충전 시 최대 407km까지 주행이 가능합니다. 또, 20~80%까지 약 30분 만에 고속충전할 수 있는 최대 150kW의 DC 충전을 지원합니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킬로미터(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3.8초입니다.

저렴한 유지비

  •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한 달 유지비용이 1/5~1/10 수준으로 매우 저렴합니다. 예를 들어, 한 달 주유비가 약 30만원이 드는 차량을 전기차로 바꿀 경우, 한달 전기 충전 비용이 3만원(완속충전인 경우)에서 6만원(급속충전인 경우) 정도로 대폭 낮아집니다.

BYD 씰, 기아 EV6, 현대 아이오닉6 제원 비교

BYD 씰, 기아 EV6, 현대 아이오닉6 제원 비교
차종 BYD 씰 기아 EV6
롱레인지 어스
현대 아이오닉6
롱레인지 프레스티지
기준 가격 4,690만원 5,940만원 5,973만원
차량 유형 사륜구동 세단 후륜구동 세단 후륜구동 세단
주행거리 407km 475km 524km
배터리 종류 리튬인산철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배터리 용량 82.56kWh 77.4kWh 77.4kWh
복합전비 4.2km/kWh 5.4km/kWh 5.2km/kWh
전장 4,800mm 4,680mm 4,855mm
전폭 1,875mm 1,880mm 1,880mm
전고 1,460mm 1,550mm 1,495mm
축거 2,720mm 2,900mm 2,950mm
공차중량 2,100kg 1,930kg 1,930kg

※ 위 내용은 공식 제원이며, 실제 주행 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서울시 전기자동차 충전소 위치 지도(출처: http://tago.kr/charge/map.htm)

열기
확대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를 이용하기 위해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C단상 (5핀)

    한국의 완속충전기 표준
    220V 교류(AC) 전원을 사용

  • DC콤보 (타입1)

    한국과 미국의 급속충전기 표준
    100kW 이상 직류 고속충전을 지원

  • 슈퍼차저

    테슬라가 만든 급속충전기
    약 40분에 80% 정도 초고속 충전

  • AC3상 (7핀)

    르노가 만든 급속/완속 충전기
    직류(DC)가 아닌 교류(AC)를 사용

  • DC콤보 (타입2)

    미국과 유럽에서 일부 사용
    직류(DC)를 사용하는 급속충전기

  • 차데모

    일본에서 만든 급속충전기
    직류 사용. 완속충전 플러그 별도

x 닫기
접속통계
맨 위로